헷갈리는 아파트 계약면적과 전용면적, 정확히 구분해드립니다!
📌 부동산 용어 제대로 알고 가세요! 계약면적과 전용면적 차이
집을 살 때나 전세, 월세를 구할 때 '계약면적'과 '전용면적'이라는 용어를 자주 보셨을 겁니다.
그런데 정확히 무슨 차이가 있는지 헷갈리셨던 적 많으시죠?
특히 아파트 청약이나 분양 받을 때, 잘못 이해하면 큰 혼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계약면적과 전용면적의 차이를 쉽고 확실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글 끝까지 보시면, 앞으로 부동산 정보를 볼 때 더 이상 속거나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!
📋 목차
📌 계약면적이란 정확히 무엇인가?
부동산 계약서에 나오는 '계약면적'은 말 그대로 내가 계약한 총 면적을 의미합니다.
여기에는 실내 공간뿐만 아니라, 계단, 복도, 엘리베이터 홀 등 공용면적도 모두 포함됩니다.
즉,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뿐만 아니라, 건물 내 여러 입주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용공간의 일정 지분까지 더해진 면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대표적인 예로 아파트를 분양 받을 때, '84㎡형'이라고 표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 84㎡는 바로 계약면적을 기준으로 한 수치인 경우가 많습니다.
💎 핵심 포인트:
계약면적은 실내 실사용 공간 + 공용공간 지분을 합한 총면적입니다.
공용면적의 대표적인 구성
- 🏢복도, 계단, 엘리베이터 홀
- 🚪현관 로비, 출입구
- 🅿️공동 주차장 면적 일부(지분으로 계산)
결론적으로 계약면적을 기준으로 집을 고를 때는, 실내 공간만 보지 말고 공용면적이 얼마나 포함됐는지도 함께 따져봐야 합니다.
📌 전용면적의 정확한 의미는?
전용면적은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실내 공간의 면적만을 의미합니다.
쉽게 말해 내 집의 벽 안쪽, 즉 방, 거실, 주방, 욕실 등 실질적인 생활 공간의 크기입니다.
현관을 기준으로 벽을 따라 측정했을 때, 내가 온전히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의 넓이가 바로 전용면적입니다.
공용 복도나 계단, 주차장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💡 TIP: 부동산 광고에서 '전용면적 59㎡'라고 하면, 실제로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실내 면적이 59㎡라는 뜻입니다.
전용면적에 포함되는 공간
- 🛋️거실, 방, 주방, 욕실 등 실내 공간
- 🚪현관 내부
- 🪟발코니 확장 부분(확장 공사 완료 시 포함)
다만, 발코니 확장은 상황에 따라 전용면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
계약서와 도면을 꼭 꼼꼼히 확인하셔야 합니다.
📌 계약면적과 전용면적의 주요 차이
그렇다면 계약면적과 전용면적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일까요?
바로 '공용면적'의 포함 여부입니다.
계약면적은 전용면적 + 공용면적 지분을 더한 값이고,
전용면적은 말 그대로 내가 사용하는 실내 공간만을 의미합니다.
구분 | 계약면적 | 전용면적 |
---|---|---|
포함 범위 | 실내 공간 + 공용공간 지분 | 실내 공간만 |
광고 표기 | 84㎡, 59㎡ 등으로 주로 표시 | 전용 59㎡, 전용 84㎡로 별도 표시 |
중요 포인트 | 실제 사용 면적과 차이 있을 수 있음 | 실제 사용 공간을 정확히 보여줌 |
따라서 부동산을 선택할 때는 전용면적 기준으로 실거주 공간을 파악하고,
계약면적을 함께 참고하면 전체 규모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📌 실거주에 중요한 면적은?
많은 분들이 집을 선택할 때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이겁니다.
그렇다면 실제 생활에 가장 중요한 면적은 무엇일까요?
정답은 전용면적입니다.
결국 내가 사용하는 방, 거실, 주방 등의 실질적인 공간이 생활 만족도를 좌우하기 때문입니다.
예를 들어, 광고에서 '84㎡형'이라 적혀있어도 실제 전용면적이 59㎡ 정도라면,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⚠️ 주의: 계약면적만 보고 넓다고 착각하면 실망할 수 있습니다. 반드시 전용면적을 확인하세요.
전용면적 59㎡ 기준 실내 공간 예시
- 🛏️방 3개
- 🛁욕실 2개
- 🍽️주방 및 거실
단, 같은 전용면적이라도 구조에 따라 체감하는 넓이가 크게 다를 수 있으니
도면 확인과 현장 방문은 필수입니다.
📌 면적 표기를 볼 때 주의사항
부동산 광고나 계약서를 볼 때 단순히 면적 숫자만 믿으면 안 됩니다.
꼭 계약면적과 전용면적을 구분해서 체크해야 합니다.
특히 분양 아파트의 경우, 광고에 '84㎡'라고만 적혀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.
이게 계약면적인지 전용면적인지를 정확히 알아야 실내 공간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.
💡 TIP: 보통 '전용 59㎡', '전용 84㎡'라고 따로 표기되면 전용면적 기준입니다. 그냥 '84㎡형'이면 계약면적인 경우가 많습니다.
면적 확인 시 체크포인트
- 📏광고 문구 속 '전용' 표기 여부 확인
- 📑계약서에 표기된 면적 구분 정확히 보기
- 🏡도면으로 실내 실사용 공간 직접 체크
이런 부분만 꼼꼼히 확인해도, 향후 불필요한 오해와 실망을 줄일 수 있습니다.
❓ 계약면적과 전용면적 자주 묻는 질문 (FAQ)
전용면적 84㎡는 실질적으로 얼마나 넓은가요?
계약면적과 공급면적은 같은 말인가요?
공용면적에 엘리베이터 공간도 포함되나요?
발코니 확장하면 전용면적이 늘어나나요?
전용률이란 무엇인가요?
전용면적과 실사용면적은 다른가요?
분양 받을 때 전용면적만 보면 되나요?
매매가와 면적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?
부동산 면적 개념, 이 정도는 꼭 알고 계세요!
부동산 계약이나 아파트 분양을 준비하신다면 '계약면적'과 '전용면적'의 차이는 반드시 알아두셔야 합니다.
단순히 광고에 적힌 숫자만 보고 판단했다가는 실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바탕으로, 집을 고를 때 실사용 공간을 꼼꼼히 따져보세요.
현명한 선택이 여러분의 주거 만족도를 크게 바꿔줄 겁니다!
계약면적, 전용면적, 공급면적, 실사용면적, 전용률, 아파트평형, 부동산 용어, 분양면적, 주거면적, 실거주공간
'부동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지거래허가구역, 개념부터 지정 지역까지 한눈에 확인 (0) | 2025.07.02 |
---|---|
차상위계층 조건부터 혜택까지 완벽 정리 (0) | 2025.07.02 |
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확실히 이해하기 (0) | 2025.07.02 |
전세권 설정부터 해지까지, 꼼꼼하게 알아보는 핵심 가이드 (0) | 2025.07.02 |
부동산 증여시 꼭 알아야 할 '직계존속·직계비속' 범위 총정리 (0) | 2025.07.01 |
댓글